본문 바로가기
미국 개발자/HOOTips

[HOO's INFO] 신입 개발자가 경력 쌓는 방법: 대학교 연구소

by Henry Cho 2021. 12. 8.
728x90

신입 개발자가 경력 쌓는 방법: 대학교 연구소


포스트 난이도: HOO_Junior

 

[Notice] 포스트 난이도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HOOAI의 Henry입니다. Bro들의 질문에 대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포스팅이 되다 보니 각각의 포스트에 대한 난이도가 달라서 난이도에 대한 부분을 작성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들었습니다

whoishoo.tistory.com


 

# 중고 신입 개발자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전 세계적으로 개발자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여 개발자를 찾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 트랜드는 다소 변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명 "개발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많지만 솔직히 모든 개발자가 충분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이진 않는다.

개발자는 많아졌지만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개발자 인재는 그다지 많이 늘지는 않았다.

그렇다 보니 일명 "중고 신입 개발자"를 채용하려는 사회적 트렌드 변화가 나타났다.

신입 개발자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risk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중고 신입 개발자를 채용하려는 것이다.

문제는 신입 개발자는 더이상 채용이 어려운데, 신입 개발자가 갑자기 경력직이 될 수는 없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컴퓨터 공학과 학부생들이 졸업 전에 "중고 신입 개발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컴퓨터 공학과 연구실 비중

 

다른 전공 대비해서 컴퓨터 공학과 학생들이 가지는 큰 장점 중 하나는 대학교 안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다.

경력도 쌓는데 전공 공부도 하고 심지어 월급도 나오는 완전 박박(=대박)인 곳이 바로 연구실이다.

솔직히 말해서 필자는 미국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전공은 컴퓨터이다 보니 다른 전공에 대해서 잘 알지는 못한다.

하지만 국내외 다른 전공에 대해서 이야기를 듣고 나누다보면 일반적으로 보이는 공통점이 있다.

이공계열에 비해서 문과계열은 별도의 연구실이 있거나 연구소에 배정되는 예산이 많지 않다.

물론 학교나 교수님들에 따라서 다를 순 있지만 필자가 듣고 본 기준에서 말이다.

또한 이공계열 중에서도 4차 산업 이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Porgramming 또는 Computing이 필요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컴공과 관련 연구소 일이 많아졌다.

그만큼 연구소에 배정되는 예산도 커진 셈이다.

한마디로 상대적으로 과거와 달리 학부생도 기본 능력이 된다면 충분히 학교 연구실에 지원해서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 대학교 연구실 경력 장점

 

대학교 연구실에서 일하는 경험은 필자가 생각하기에 학부생에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좋은 경력이 아닐까 싶다.

연구실이라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학부생인데 연구실에 뽑혔다면 너무 부담을 느낄 필요는 없다.

물론 본인이 열심히 해야 한다는 건 맞지만 학부생에게 많은 걸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실 교수님들께서는 전공 교수이시거나 지도 교수인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학부생은 경력도 쌓고 전공 공부도 하고 돈도 버는 완전 꿀 알바인 셈이다.

대학교 연구실에서도 연구 실적이 주목적이지만 기업처럼 이윤 추구가 가장 중요한 목적이 아니다.

또한 교수님들은 학부생의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계시기 때문에 학부생이 노력하여 해낼 수 있는 만큼의 과제 또는 일을 부여하신다.

 

마지막으로 시간의 활용성이다.

이건 학교, 또는 교수님의 성향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석박사급 인력이 아니라면 학부생에게는 많은 시간을 연구실에서 할애하라고 하지는 않는다.

학부생이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기도 하지만 교수님들께서 생각하는 학부생 기준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학부생을 연구실에 채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부생의 능력보다도 학부생의 잠재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받는 페이가 대학원생만큼 받을 거라고 기대해서는 안된다.

당연히 그만큼의 능력도 없기 때문에 줄 수도 없지만 학부생에게 대학원생만큼의 연구 비중을 가져가라고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학부생은 연구소에서 연구원을 일했다는 경력을 쌓으면서도 학업이나 별도의 다른 일을 할 시간을 충분히 할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학부생이어도 대학교 연구실에서 일을 할 수 있다.

 

이것은 필자의 주장이 아니라, 실제로 필자 주변에 Bro들이 많이 하고 있다.

해외는 이미 당연하게 하고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Bro는 국내 학부생들을 말하는 것이다.

학부생임에도 어느정도 기본기가 되어 있다면 연구실에서 공부를 하며 교수님의 연구를 돕거나 일을 같이 할 수 있다.

교수님들께서도 사실 학부생에게 많은 걸 요구하지 않는다.

하지만 연구를 하는 과정이나 특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학부생이 의지를 가지고 배울 자신이 있다면 학부생을 뽑는 걸 꺼려하시진 않는다.

심지어 어떤 교수님께서는 자신에게 배정된 연구비의 일부를 학생들에게 주며 연구실에 와서 공부할 시간을 주기도 하신다.

 

# 대학교 연구실에서 일하기 위한 조건

 

우연찮게 대학교 연구실에 들어가서 일을 하며 공부를 하는 기회를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필자가 주변에서 본 학부생인데 연구실에서 일하는 Bro들은 그렇지 않다.

본인이 특정 분야에 대한 어느 정도 확실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한마디로 자신이 앞으로 어떤 분야의 프로그래밍을 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이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교수님들께서는 학부생 연구원한테 많은 걸 요구하시지 않는다.

다만 앞으로 연구소에서 지식을 습득해서 그걸 연구하는 과정에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물론 연구비에 여유가 있으셔서 학생들 용돈 벌 이하라고 생각하시는 좋은 교수님들도 계신다.

따라서 자신이 나아가려는 분야와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분야가 동일하고 학부생의 의지와 잠재적 능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면 얼마든지 와서 공부하고 작은 일이라도 직접 해보며 경험을 쌓으라고 하실 것이다.

 

두 번째는 실력이다.

학부생 연구원이라고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대학교 연구실이다.

연구하려는 분야의 기본 지식이 부족하면 당연히 일을 할 수가 없다.

작은 일이라도 기본을 알아야 무언가를 하지, 아무것도 안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본인이 대학교 연구실에서 일을 해보고 싶다면, 자신의 기본기를 공부하고 교수님께 자신이 어느 정도 기본기를 가지고 있는지를 잘 어필해야 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객관적인 자신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결과적으로 안 좋은 결과만 초래할 것이다.

 

마지막은 연속성이다.

필자처럼 박사를 원하는 학생들은 연구소 일이 필수이다.

다른 대학원에 갈 때도 평가받는 기준이 연구소에서 일한 경력과 연구 실적이다.

만약에 다른 대학원이 아니라 동 대학원에서 석사나 박사를 한다면 무조건 연구실에서 일하는 걸 추천한다.

연속적으로 연구소에서 일을 하게 되면 익숙한 환경에서 공부와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학생뿐 만 아니라 교수님들 입장에서도 베리 땡큐 머 치한 부분이다.

이미 연구하는 분야나 연구소 스타일을 알고 있는 학부생이 대학원까지 이어서 한다면

교수님 입장에서는 일 잘하는 학생이라면 대학원을 하고 연구실에 남아주는 것이 너무너무 고마운 일일 것이다.

그렇다 보니 대학원 석박사를 하는 과정에서 지도 교수님이 전폭적으로 지지를 해줄 가능성이 높아진다.

물론 모든 케이스는 학생과 교수 간의 사이가 좋을 때이지만 말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