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미국 cs 전공4 [Q&A] 미국 대학교 학벌이 중요한가요? 미국 대학교 학벌이 중요한가요? # Q: 혹시 미국 내에서는 개발자로 취직을 하려 할 때 한국의 대학 학벌처럼 학벌에 대한 큰 메리트가 있을까요? 제가 검색해 본 바로는 대학으로 리쿠르팅하러 오는 회사의 종류가 많은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해당 질문을 했던 브로가 질문을 한 내용을 다른 브로들과 공유를 하는 것에 동의를 해줘서 다른 브로들도 질문을 했었던 공통적인 내용을 포스트로 작성하게 되었다. 해당 브로는 한국에서 컴퓨터 관련 학과를 다니고 있는 학부생으로서 자신만의 목표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궁금한 점들을 글쓴이에게 물어봤었다. 글쓴이의 답변이 나름 직설적일 수도 있는데도 좋게 받아줘서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CS, CE 전공 기준으로 미국도 학벌에 대한 메리트는 있다. 우리가.. 2023. 8. 3. [미국 유학생] 학부 연구생 지원하는 방법과 좋은 이유 학부 연구생 지원하는 방법 # 학부 연구생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CS 전공자들의 경우에는 학업을 하면서 일을 하기가 어렵다. 바빠서 어려울 수도 있지만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학생 비자인 F1 비자를 가지고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다면 외부에서 일을 할 수가 없다. 이는 CS 전공자뿐만 아니라 모든 미국 유학생들에게 해당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교내의 경우에는 사정이 다르다. 다니고 있는 대학교 안에서 일을 하는 건 F1 비자를 가지고 있어도 가능한 일이다. 그중에서도 CS 전공자의 경우에는 학부 연구생으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상당히 많이 주어지며, 공부를 하며 일도 병행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학부 연구생은 Undergraduate research assistant라고.. 2022. 8. 7. [미국 유학생] CS 전공자 교내 서버와 외부 서버 CS 전공자 교내 서버와 외부 서버 # 교내 서버 미국에서 CS 전공자라면 프로그래밍과 프로젝트는 언제나 따라오는 즐거운 생활의 일부분이다. 미국 대학교에 경우에는 대부분 자체 교내 서버가 구축되어 있고 프로그래밍 과제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체 서버를 활용하는 편이다. 특히 리눅스와 관련된 과제나 프로젝트는 교내의 내부 서버를 활용하기 때문에 내부 서버에 연결하여 과제나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문제는 처음 내부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에 당황해서 설정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다행스럽게도 교내에 거주하고 있거나 교내에서 과제나 프로젝트를 하려고 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교내 와이파이나 인터넷을 활용하면 자동적으로 교내 서버와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버를 사용하는데 .. 2022. 7. 6. [HOO's LIFE] 미국 CS 전공 유학생이 알고 있어야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미국 CS 전공 유학생이 알고 있어야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미국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CS 전공자 학부생이라면 공통적으로 학교에서 쓰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다. 사실 CS 전공으로 대학교를 오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민하는 것 중에 하나가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미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고 싶지만 도대체 어떤 언어를 먼저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한다. CS 전공 뿐만 아니라 컴퓨터 관련 학과를 가는 Bro들도 필자에게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질문을 많이 하는 편이다. 문제는 국내 대학교에는 물어볼 사람이 많지만 미국 대학교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는 것이다. CS 전공으로 미국 유학을 준비하거나 시작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필자의 경험에서 느낀 학부생 때 필요한 프로그래.. 2022. 6. 16.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