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O's LIFE/미국 유학생

[미국 논문] 논문 쓸때 유의해야 하는 문법 표현: Nominalization, Passive voice and Non-active verbs, Expletive, Repetition, Double Descriptor

by Henry Cho 2023. 1. 20.
728x90

논문 쓸 때 유의해야 하는 문법 표현: Nominalization, Passive voice and Non-active verbs, Expletive, Repetition, Double Descriptor


# 문법 표현

미국 논문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 논문이 가져야 하는 작성 스타일이 존재한다. 그중에 가장 기본적인 게 바로 문법적 표현이다. 한국에서도 논문을 작성할 때와 일반 글을 쓸 때 쓰는 스타일이나 방식이 다르듯이 영어도 마찬가지인 셈이다. 글쓴이가 "문법"이 아니라 "문법적 표현"이라고 얘기한 이유는 일반 글과 논문이 가지는 표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문법적으로는 맞는 문장일지라도 논문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는 적절하지 않을 수가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논문에서 사용하는 문법적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Nominalization

Nominalization은 명사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문장 작성에 있어서 동사 대신에 명사화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글을 작성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명사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 글에서는 명사화를 사용한다고 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명사화를 사용한 문장이 잘못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논문을 쓰는 데 있어서 명사화를 사용한 문장은 좋지 않은 문장에 해당된다. 명사화가 좋지 않은 이유는 문장 자체가 복잡해지고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문장이 복잡해진다는 것은 명사화를 통해서 문장에 필요한 단어 수가 늘어나고 표현이 다소 지저분해진다. 한마디로 논문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명확한 문장"이라는 초점이 흐려진다는 것이다. 명확한 문장을 토대로 로직을 나타내야 하는 논문에서는 명사화로 작성된 문장은 내용이 모호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

영어에서 흔히 "7 part of speech"로 알려진 noun, pronoun, verb, adjective, adverb, preposition, conjunction, interjection 등이 있다.(사실 8개지만 7 part로 부르기도 한다.) 이 중에서 명사화로 사용된 것을 동사로 바꿔줘서 작성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한마디로 명사화를 수정하는 방법은 문장에서 동사를 사용하는 형태로 바꿔주면 된다는 것이다. 아래의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자.

This research is an exploration of the smart agricultural systems.

This research explores the smart agricultural systems.

두 문장은 사실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첫번째 빨간 예시 문장이 아니라 두 번째 파란 예시 문장이 논문 작성에 적합하다. 그 이유는 명사화로 표현 부분을 동사로 바꿔줘서 문장 자체가 보다 더 명확하게 표현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명사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문장 길이 자체가 짧아지기 때문에 이 역시도 문장이 보다 더 명확해지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결국 미국 논문의 핵심은 심플하면서도 명확하게 문장을 작성해 주는 것이라는 점을 항상 유의하면 된다.


# Passive voice and Non-active verbs

거두절미하고 굳이 수동적 표현을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물론 수동적 표현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수동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수동적 표현은 문장 자체가 길어지고 복잡해진다. 문장 자체가 지저분해지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문장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이나 특정 상황에 대한 표현이 약해진다. 문장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이나 상황이 약해지면 논문을 읽는 독자는 논문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초점이나 방향성에 대한 이해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마디로 앞선 "명사화"랑 동일하게 문장을 명확하고 심플하게 만들어주기 위해서 수동적 표현의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아래의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자.

The agricultural data was collected by HOO.

HOO collected the agricultural data.

위의 두 문장을 살펴보면 사실 간단한 차이이다. 수동적으로 표현을 했냐 안했냐 이 부분이 핵심인 셈이다. 글 작성에 있어서 둘 다 맞는 표현이고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논문에서는 두 번째 파란 문장을 작성하는 것이 훨씬 낫다. 예시를 보더라도 문장 길이 자체에서 차이가 나고 문장을 읽어보았을 때도 두 번째 문장의 가독성이 훨씬 좋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논문 작성에 있어서는 수동적인 표현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수동적인 표현을 찾는 방법은 helping verbs을 없애준다고 생각하면 작성된 문장에서 쉽게 눈에 띌 것이다. 또한 S+V+O 방식을 O+V+S 방식으로 바꿔준다고 생각하면 보다 더 쉽게 문장을 수정해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동적 문장 표현의 에러를 줄이기 위해서는 "누가" "무엇을 했는지"를 문장을 작성할 때 유의해야 한다. 


# Expletive

세번째로는 Expletive이다. 한국말로는 조어라고 하는데 흔히 덧붙이거나 부가적인 표현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There are, There is 등이 있는데 글쓴이 원치 않게 좋아하는 표현이다. 한마디로 글쓴이도 글을 쓰다 보면 많이 하는 실수이자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표현이다. 조어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도 문장 자체에 문법적 오류 발생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에세이를 작성할 때도 조어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명확함을 중시하는 논문에서는 조어는 불필요하고 유의해야 되는 녀석이다. 마찬가지로 아래의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자.

There are numerous data included in this project.

Numerous data is included in this project.

위의 예시에서 보듯이 조어에 해당하는 there are를 제외하고 문장을 작성할 경우 보다 깔끔하게 문장 작성이 이루어진다. 가독성에 있어서도 명확하고 문장 길이에 있어서도 짧아지는 만큼 문장이 나타내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조어로 작성된 문장을 찾을 때에는 불필요한 단어를 삭제해 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유의해서 살펴보면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Repetition

다음으로 유의해야될 표현은 Repetition이다. 말 그대로 반복적인 표현을 유의하라는 것이다. 한글과 영어의 언어적 차이에 해당되는 부분이 바로 이 부분이라고 본다. 물론 한글에서도 반복적인 표현을 사용하면 문장이 더러워지고 명확하게 작성되지가 않는다. 하지만 영어에서 말하는 반복은 한국적 관점에서 봤을 때 문제가 없어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의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자.

HOO is from the state of Florida.

HOO is from Florida.

이 두 문장을 살펴보면 영어 표현에서 반복과 한글 표현에서 말하는 반복이 조금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한글 표현에 있어서 문장을 해석해보면 사실 둘 다 문제가 없어 보인다. "플로리다라는 주에 후가 산다"라는 의미로 해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어 표현에 있어서는 "state of Florida"가 반복된 표현에 해당된다. Florida는 이미 state에 해당되기 때문에 굳이 Florida가 state라는 표현을 한번 더 작성해 줄 필요가 없다. 해석해 봤을 때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영어 표현에 있어서는 반복 표현에 해당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반복 표현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 Empty/Inflated Phrase

Empty/Inflated Phrase는 의미가 없는 Phrase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접속사를 사용한다면 문장을 이어주는 올바른 접속사를 사용해야지 의미없는 접속사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논문을 작성할 때 주요하게 생각해야 되는 부분이 명확한 표현이다. 문장이 심플해지거나 문장을 이어주어서 문장 자체가 명확해질 수도 있지만 올바르지 않은 Phrase를 사용한다면 글 전체의 내용이 모호해질 수 있다. 따라서 논문 작성에 있어서 명확한 Phrase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Double descriptor

마지막으로 Double descriptor는 중복된 표현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own"이 있다. 해석해보면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영어 표현에 있어서는 중복되어 부수적인 표현이기에 작성하지 말아야 한다. 예를 들어 문장에서 "their own", "his own", "her own" 등과 같이 own을 중복해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