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개발자/미국 유학생

[미국 논문] 모호한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by Henry Cho 2023. 1. 17.
728x90

모호한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 모호한 접속사

 

우선 접속사라는 표현을 써본 지가 하도 오래되어서 맞는 말인지 검색해 보았다. 글쓴이처럼 미국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유학생들에게는 한글을 사용할 일도 적은데 "접속사"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는 더더욱 드물기 때문이다. 아무튼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모호한 접속사를 사용하는 게 좋지 않다. 사실 논문이 아닌 다른 글들을 사용하다 보면, 접속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글의 흐름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원인과 근거에 대한 로직이 중요한 미국식 글쓰기에서 접속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 논문 작성의 우선순위는 명확한 작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한 접속사는 제외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논문 작성에 있어 우선순위는 명확한 표현이다. 접속사에 있어서 모호하지 않은 명확한 표현의 접속사를 사용해야 되는 이유가 크게 2가지가 존재한다. 첫 번째로는 시간적 표현이나 추상적 표현이 포함된 접속사는 문장을 모호하게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어서, 접속사가 나타내는 원인에 대한 근거가 앞선 문장과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독자 스스로가 이에 대한 근거를 한번 더 생각해야 한다. 따라서 독자는 논문을 읽고 있는 흐름에서 벗어나게 된다.

두 번째로는 모호한 접속사가 문장 자체를 지저분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한글도 마찬가지지만 영어로 글을 작성하다 보면 같은 문장이라도 여러 가지 표현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렇다 보니 어떤 문장을 작성한다고 했을 때 접속사를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글의 스타일이 확연히 달라진다. 마치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거와 흡사하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우리는 논문을 작성하고 있기 때문에 논문 스타일에 맞는 접속사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논문의 가장 우선 순위는 명확함이다. 명확하게 표현이 되어야지만 문장들이 기계의 부속품들처럼 체결되어 읽힌다. 여기서 문제는 문장을 간단하게 작성하고자 접속사를 사용하다 보면 막상 문장들이 체계적으로 읽히지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마치 문장들이 흐리멍덩해지고 기계와 같은 체결감을 잃어버린다. 그렇기에 논문에서는 접속사를 사용해서 문장을 나열하거나 풀어서 작성하려고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결국 논문을 작성하는데 접속사를 사용하려고 한다면 논문의 스타일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