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lockchain16

[Blockchain] 데이터 활용 목적에서의 재구조화된 블록체인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해당 포스트는 글쓴이의 개인적인 견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추적성대학원생이나 연구원들의 가장 큰 문제점 중에 하나가 본인의 분야에서 사로잡혀 있다 보니 트렌드나 기술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나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고 이야기하는 거와 개발자 브로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관점의 차이가 정말 많이 다르다. 그래서 여유가 있을 때마다 개발자 브로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려고 최대한 노력하는 편이다. 아무튼 오늘 포스팅을 할 내용은 사실상 2년 넘게 공들여왔다 Redesign한 농업용 블록체인 프로토타입을 만든 걸 자랑하기 위해서이다. 사실 농담이고 블록체인 개발자와 공학 연구원 가운데 서 있는 내 입장에서 현재.. 2025. 4. 3.
[Blockchain] Fabric Gateway API, Transaction 제출 과정을 단순화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Fabric Gateway, Hyperledger Fabric v.2.4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하이퍼레저 패브릭 (Hyperledger Fabric)을 사용하는데 그다지 친근하지는 않았었다. 아무래도 여러 레이어들이 연결되다 보니 특정 하나의 버전만 달라져도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들이 많았다. 이 외에도 많은 기능들을 직접 연결하고 작업을 해야 하다 보니 초심자에게 있어서는 접근하기 여간 쉽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 미국의 경우 각 주마다 IBM 블록체인 개발자 커뮤니티와 세미나가 존재하고 있지만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서로 의견을 공유할 뿐 문제는 본인이 해결해나가야 했다. 아무튼 하이퍼레져 패브릭 2.4 버전 이후에 새롭게 업데이트된 패브릭 게이트웨어 (Fabric.. 2025. 3. 15.
[Blockchain] Zero-Knowledge Proof (ZKP) 포스트 난이도: HOO_Lead# ZKP란요즘 글의 논리성과 연구나 개발에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해서 시간 투자를 많이 하다 보니 "내가 글 쓰는 작가인가"라는 착각이 들기도 한다. 그렇다 보니 가면 갈수록 개발자 브로들이 무엇에 대해서 고민이 많고 무엇을 궁금해할 지에 대해서 생각이 잘 나지 않는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는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ZKP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이야기를 나눌까 한다. ZKP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기 앞서서, 블록체인에서 말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라고 하는 증명 방식들은 사실 이미 오래전부터 수학적이나 컴퓨터에서 다뤄왔던 증명들이다. 마치 "오 이건 블록체인에서만 사용되는 새로운 방식이야!"라고 하기보다는 블록체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상황에 맞는 증명 방법이 필.. 2025. 3. 10.
[Blockchain] Hyperledger Fabric: network.sh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fabric-samples v2.5If you're venturing into the world of Hyperledger Fabric, understanding the core components of a smart contract is essential. In this post, we’ll break down the key functions within the network.sh file. https://github.com/hyperledger/fabric GitHub - hyperledger/fabric: Hyperledger Fabric is an enterprise-grade permissioned distributed ledger framework for .. 2024. 9. 16.
[Blockchain] Blueprint for Smart Contract: smartcontract.go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fabric-samples v2.5If you're venturing into the world of Hyperledger Fabric, understanding the core components of a smart contract is essential. In this post, we’ll break down the key functions within the smartcontract.go file, which will help you not only build your own smart contract but also grasp the basics of chaincode development in Go.https://github.com/hyperledger/fa.. 2024. 8. 30.
[Blockchain] 네트워크 스크립트 실행 설정, chmod +x 네트워크 스크립트 실행 설정, chmod +x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 블록체인 로컬 네트워크 스크립트 실행 스크립 내에 별도로 명령어에 대한 설정이 되어있지 않거나 스크립트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스크립트 실행을 위한 설정 명령어를 입력해 주고 특정 스크립트에 대한 권한을 부여해줘야 한다. chmod +x 위의 "Chmod +X"를 통해서 리눅스나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디렉터리 및 파일 권한을 변경해 줄 수 있다. Chmod는 변경을 의미하고 +는 권한을 추가해 준다고 이해하면 된다. 따라서 "test-HOO.sh"라는 스크립트에 권한을 변경해주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해 주면 된다. chmod +x test-HOO.sh # 사용자에 대한 권한 설정 추가적으로 아래와 같은 명령.. 2023. 12. 28.
[Blockchain] 블록체인 인보크 (Invoke Method) 블록체인 인보크 (Invoke Method)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 Invoke Method 블록체인(Blockchain)에서 인보크(Invoke)는 체인코드 기능(Chaincode funciton)을 부르는 데 사용된다. 인보크는 유니티와 같은 다른 프로그래밍에서도 활용되는 메서드(Method)이지만 블록체인에서는 시간 지연 기능을 제공하기보다는 create, read, update and delete (CRUD)를 가지고 있으며(Encapsulated) 클라이언트(Client application) 트랜잭션(Transactions)이 발생할 때 인보크가 사용된다. 인보크 단어의 뜻을 찾아보면 "작동하다" 또는 "호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블록체인의 인보크는 체인코드를 작동하기 위한.. 2023. 12. 26.
[Blockchain] 토큰 없이 작동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토큰 없이 작동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 Non-token Pulic blockchain 블록체인은 토큰, 즉 암호화 화폐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다는 걸 알고 있다. 대표적으로 Permission이나 Private blockchain의 경우 암호화 화폐보다는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 기능 자체를 집중하다 보니 별도의 토큰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마디로 Blockchain as a Service (BaaS)에 집중하여 토큰 거래 없는 블록체인 기능을 산업에 활용하는 방식인데, 한국이나 중국과 같이 가상화폐의 이슈가 사회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의 인식이 좋지 못해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것에 부정적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화폐를 제외한 블록체인 기.. 2023. 8. 16.
[Blockchain] 인터넷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차이점 인터넷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차이점 포스트 난이도: HOO_Middle # 정보화 시대에서 데이터 경제 시대로의 전환 우리는 인터넷 (Internet)을 마치 하나의 고유명사처럼 당연하게 여기며 사용하고 있다. 그만큼 인터넷의 파워가 전 세계적으로 대단하며 새로운 하나의 패러다임이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다. 사실상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 중에서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통신망을 나타낸다. 마치 인터넷이 그저 하나의 동일한 네트워크인 것처럼 보이지만 인터넷이라고 불리는 방식을 통틀어서 우리는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인터넷 방식은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고 지금도 데이터를 공유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인터넷을 활용한다. 데이터와 정.. 2023. 7. 20.
[Blockchain] 블록체인 모델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 (Python) 블록체인 모델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 블록체인 모델 프로그래밍 언어 블록체인이 알려지게 된 계기는 암호화 화폐였지만 이제는 다양한 가상 상품 거래에 있어서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다. 글쓴이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 있음에도 여러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례나 구조 체계를 살펴보다 보면 놀라울 따름이다. 그렇기에 블록체인 개발 언어가 초창기에 C 기반이었던 거와 달리 이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블록체인 모델을 목적에 맞게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블록체인 전용 언어까지 나올 정도이니 블록체인 모델 개발과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걸 알 수 있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블록체인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대표적으로 사용.. 2023. 5. 7.
[Blockchain] Private Blockchain이란? Private Blockchain이란?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 Private blockchain 블록체인에는 접근성을 기준으로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나타낸다. 첫 번째가 Private blockchain이고 그 뒤로 Permission blockchain, Public blockchain 등이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rivate blockchain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Private blockchain 또는 한국말로 폐쇄형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제한적인 상황에서 활용한 경우를 의미한다. 앞서 이야기한 대로 접근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여 부르기 때문에 폐쇄형 블록체인은 다른 블록체인 유형에 비해서 접근성이 매우 제한적이다. 폐쇄형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고 있.. 2022. 12. 12.
[Blockchain]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s)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s) 포스트 난이도: HOO_Senior # Consensus Algorithms Consensus algorithms이라고 불리는 합의 알고리즘은 노드 간의 합의를 통해서 알고리즘의 결과를 산출해낸다. 기존의 Centralized network 방식에서 Decentralized network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블록체인의 경우는 Consensus algorithm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물론 블록체인이 무조건 탈중앙화 방식을 채택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합의 알고리즘 방식을 채택하는 대표적인 경우가 블록체인임에는 틀림없다. 합의 알고리즘이라고 하면 과반수 이상의 노드가 충족되어야만 Ture가 성립되는 걸 의미한다. 하지.. 2022. 10. 12.
[Blockchain] Asymmetric Encryption(비대칭 암호화): PKC, DEXs Asymmetric Encryption(비대칭 암호화) 포스트 난이도: HOO_Middle [Notice] 포스트 난이도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HOOAI의 Henry입니다. Bro들의 질문에 대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포스팅이 되다 보니 각각의 포스트에 대한 난이도가 달라서 난이도에 대한 부분을 작성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들었습니다 whoishoo.tistory.com # Asymmetric Encryption Asymmetric encryption은 한국에서 비대칭 암호화라고 부르며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과 더불어 사용되는 무결성, 암호화 방식이다. Asymmetric encryption은 PKC(Pulic Key Cryptography)을 다루면서 이미 많이 알고 있는 대표적인 암호화 방식.. 2022. 1. 28.
[Blockchain] Public Key and Private Key: Trapdoor functions, Asymmetric encryption Public Key and Private Key 포스트 난이도: HOO_middle [Notice] 포스트 난이도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HOOAI의 Henry입니다. Bro들의 질문에 대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포스팅이 되다 보니 각각의 포스트에 대한 난이도가 달라서 난이도에 대한 부분을 작성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들었습니다 whoishoo.tistory.com # Public key Public key는 Public key cryptography(PKC)라고 불리며 한국에서는 이를 공개키라고 한다. Public key는 공개적으로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key이며, 이를 공개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이유는 Public key가 가진 특징에서 비롯된다. Public key의 가장 큰 특징은 Trapdoor f.. 2022. 1. 28.
[Blockchain] NFT(Non-fungible Token): NFT 뜻 NFT 뜻 포스트 난이도: HOO_Intern [Notice] 포스트 난이도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HOOAI의 Henry입니다. Bro들의 질문에 대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포스팅이 되다 보니 각각의 포스트에 대한 난이도가 달라서 난이도에 대한 부분을 작성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들었습니다 whoishoo.tistory.com # NFT 최근 Metaverse와 함께 이슈화되는 기술이 바로 NFT이다. NFT는 Non-Fungible Token이라는 의미로 말 그대로 대체가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한다. NFT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이해하기 쉽도록 예제를 하나 살펴보자.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물병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물병에는 이미 물을 다 마시고 버려진 상태이다. 이 페트병의 가치는 재활용되는 일반적인 플라.. 2022. 1. 14.
[Blockchain] 블록체인과 암호화 화폐의 관계 블록체인과 암호화 화폐의 관계 프로그래머의 진로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종종 블록체인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곤 합니다. 아무래도 블록체인과 AI 분야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보니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이야기가 깊어질수록 이쪽 분야로 이야기를 나누게 되는 것도 있습니다.블록체인은 2015년 이후부터 암호화 화폐인 일명 비트코인으로 대중한테 알려지게 되었으며 2019년 12월에도 제2회 블록체인 세미나가 개최되면서 블록체인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실질적으로 활용을 하는 분야가 과거에 비해 상당히 넓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블록체인은 암호화 화폐를 만드는 기술일뿐이라고 생각하거나 블록체인과 암호화 화폐는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꽤 많았습니다. 심지어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친.. 2020. 1.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