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미국 논문8

[미국 논문] Introduction에서 마무리하려고 하지 않기 Introduction에서 마무리하려고 하지 않기 # 결과를 미리 보여줄 필요는 없다. 논문을 쓰다 보면 하는 실수 중에 하나가 Introduction (서론) 임에도 결과까지 도출하려고 하거나 뭔가 결과를 보여주려고 하는 방향으로 글을 작성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글쓴이가 했던 실수인데 막상 검토를 하다 보면 "아차" 싶지만 글을 쓰다 보면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Introduction의 Section이 많은 경우, Introduction인 것을 간과한 채 자신의 글쓰기에 심취해서 이러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연구 논문에서의 Introduction은 문제점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그렇다보니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나 현재의 문제점과 현황을 구체적이지만 심플하게 담고 있어야 한다. 그렇기에.. 2023. 5. 20.
[미국 논문] 명확하고 참여적인 연구논문 작성 전략 : 정의와 사례를 중심으로 확하고 참여적인 연구논문 작성 전략 : 정의와 사례를 중심으로 Strategies for Writing Clear and Engaging Research Papers: Emphasizing Definitions and Examples # 정의 다음에 예제 논문(Papers)을 작성하다 보면 정의(Definitions)와 예제(Examples)를 항상 로직(Logics)에 맞추어야 한다. 그렇다 보면 정의와 예제가 번갈아가며 작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글쓴이가 미국에서 논문을 쓰면서 느낀 점은 미국은 결론이 항상 앞에 나와 있어야 하며, 글이 심플하고 쉽게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술적인 내용을 다루는 논문일수록 더 쉽고 간단하게 글이 읽혀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페이퍼 로직을 구성할 때 연구.. 2023. 4. 1.
[미국 논문] 논문 쓸때 유의해야 하는 문법 표현: Nominalization, Passive voice and Non-active verbs, Expletive, Repetition, Double Descriptor 논문 쓸 때 유의해야 하는 문법 표현: Nominalization, Passive voice and Non-active verbs, Expletive, Repetition, Double Descriptor # 문법 표현 미국 논문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 논문이 가져야 하는 작성 스타일이 존재한다. 그중에 가장 기본적인 게 바로 문법적 표현이다. 한국에서도 논문을 작성할 때와 일반 글을 쓸 때 쓰는 스타일이나 방식이 다르듯이 영어도 마찬가지인 셈이다. 글쓴이가 "문법"이 아니라 "문법적 표현"이라고 얘기한 이유는 일반 글과 논문이 가지는 표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문법적으로는 맞는 문장일지라도 논문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는 적절하지 않을 수가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논문에서 사용하는 문법적 표현.. 2023. 1. 20.
[미국 논문] 모호한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모호한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 모호한 접속사 우선 접속사라는 표현을 써본 지가 하도 오래되어서 맞는 말인지 검색해 보았다. 글쓴이처럼 미국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유학생들에게는 한글을 사용할 일도 적은데 "접속사"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는 더더욱 드물기 때문이다. 아무튼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모호한 접속사를 사용하는 게 좋지 않다. 사실 논문이 아닌 다른 글들을 사용하다 보면, 접속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글의 흐름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원인과 근거에 대한 로직이 중요한 미국식 글쓰기에서 접속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 논문 작성의 우선순위는 명확한 작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한 접속사는 제외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 2023. 1. 17.
[미국 논문] Abstract의 예시는 괄호로 간단하게 나타낸다 Abstract의 예시는 괄호로 간단하게 나타낸다 # Abstract 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서 Abstract, 한국말로는 초록 부분에 글을 작성할 때에는 예시를 줄일 필요가 있다. 초록은 논문의 전체적인 요약본의 역할을 하면서도 연구의 방향성을 나타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렇다 보니 보다 구체적인 예시는 본 내용에서 언급하고 자세하게 작성하면 된다. 하지만 문제는 그렇다고 해서 예시 자체를 작성하지 않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미국 논문 스타일을 보면 정말 해당 분야를 잘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끔 작성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보니 예시가 정말 필수적인데 이때 괄호를 통해서 간단하게 예시를 표현해 주는 것이다. (eg., sth) 위와 같이 해당 문제의 예시라는 점을 괄호를 통해서 간단하게 나타낼.. 2023. 1. 17.
[미국 논문] 부수적인 예시를 넣을 필요가 없다 부수적인 예시를 넣을 필요가 없다 # 명확한 예시가 중요하다 미국 논문을 작성하다보면 구체적이고 특정한 예시를 제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명확한 예시가 중요하지 부수적인 예시까지 포함할 필요가 없다. 논문의 로직을 구성할 때 항상 Dummy 기준으로 작성되어야 한다고 하다 보니 여러 예시를 나열해서 설명하려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필자 또한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나열된 여러 예시보다 하나의 구체적이고 명확한 예시가 논문 작성에 필요하며 꼭 그렇게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여러 예시는 논문의 방향성에 혼란을 야기한다 예시가 많아지다보면 논문을 읽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초점이 예시로 맞춰진다. 왜냐하면 예시라는 것 자체가 특정한 정의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작성되거나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 2023. 1. 16.
[미국 논문] 미국 논문에 맞는 표현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논문에 맞는 표현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표현의 차이 논문을 작성한다는 게 쉽지 않은데 유학생 입장에서 미국 논문을 작성한다는 건 더욱 어려울 따름이다. 한국어가 아니라 영어로 작성하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는 것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논문을 작성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작성하는 논문 방식과 미국에서 작성하는 논문 방식은 차이가 있다. 언어적인 이유가 있을 수도 있고 문화적인 이유나 사회적인 이유 등과 같이 복합적인 이유로 논문을 작성할 때 방식이 다소 다르다. 마찬가지로 미국 논문이 아닌 중국 논문을 보더라도 논문 안에 작성된 글의 흐름이 한국 논문과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렇기에 미국 유학생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유학을 하는 대학원생의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논문.. 2023. 1. 12.
[미국 논문] 타이틀 작성을 먼저 하는 것이 좋다 타이틀 작성을 먼저 하는 것이 좋다 # Title 작성 Paper를 쓰는 데 있어서 타이틀(Title)은 중요하다. 타이틀에서 논문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한눈에 보여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타이틀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 눈에 띄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초점에 두어야 한다. 그러기에 사실상 Introduction을 작성하지도 않은 시점에서 Title을 작성하는게 쉽지는 않다. 아무리 어느 정도의 Logic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구체화된 Logic이 없는 상태에서 타이틀을 정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이틀을 먼저 작성하고 논문 작성을 시작하는 게 좋다는 이유는 앞서 이야기한 Logic이 흐려지는 걸 방지하기 때문이다. 로직(Logic)이 흐.. 2023. 1.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