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프로그래밍15

[Python Examples] if문 예제 코드(Example of if statement) if문 예제 코드(Example of if statement) 포스트 난이도: HOO_Intern [Notice] 포스트 난이도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HOOAI의 Henry입니다. Bro들의 질문에 대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포스팅이 되다 보니 각각의 포스트에 대한 난이도가 달라서 난이도에 대한 부분을 작성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들었습니다 whoishoo.tistory.com [해당 포스트는 기존 2020.2.3일 자 포스트를 업데이트한 포스트입니다.] # Example 1 print("Hello, I'm HOO.") num1 = 20 num2 = 25 if num1 >= num2: print("num1이 num2보다 큽니다.") 위의 if 문 예제 코드는 if문의 기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if.. 2022. 7. 30.
[Q&A] 프로그래밍할 때 지치지 않는 방법이 있나요? 프로그래밍할 때 지치지 않는 방법이 있나요? Computer science 학부생의 경우에는 수많은 프로그래밍 과제 속에서 파묻혀 살아간다. 과제가 술술 풀리면 다행이지만 교수님들도 학생들의 수준을 알기 때문에 무작정 쉬운 과제만을 주지 않는다. 학생들이 끙끙 앓아가면서 공부할 수 있는 과제들을 주는 편이기에 CS 전공 학부생들은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스트레스 많이 받는다. 프로그래밍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건 사실 학부생에서 끝나진 않는다. 개발자로 취업을 하거나 대학원을 가서도 프로그래밍이 잘 되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고 지치는 건 동일하다. 암울할 수 있지만 그것이 사실이다. 필자도 천재가 아니기에 프로그래밍이 잘 되지 않거나 하기 싫어지는 날들이 있다. 해야 할 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래밍을 하.. 2022. 7. 27.
[Q&A] 빅데이터는 통계학과나 수학과에서 다루는 건가요? 빅데이터는 통계학과나 수학과에서 다루는 건가요? Q: 형 빅데이터에 대해서 찾아봤는데 프로그래머도 빅데이터를 다루나요? A: 응 프로그래머도 빅데이터 관련해서 프로그래밍을 하기도 하지. Q: 근데 제가 찾아봤는데 빅데이터를 다루려면 통계학과나 수학과를 나와야 좋다고 하더라고요. A: 그것도 틀린 말은 아니지. Q: 그러면 제가 통계학을 공부한 것도 아니고 수학과를 나온 것도 아닌데 빅데이터 전문가가 될 수 없는 거 아닌가요? A: 빅데이터를 다루는 사람과 빅데이터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사람은 달라. 한국에서 컴퓨터 공학과를 다니는 브로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에 질문한 내용이다. 사실 빅데이터 전문가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기에 통계학과나 수학과에서 많이 지원하는 분야이다. 그렇다 .. 2022. 7. 26.
[HOO's INFO] 학부 수업은 모두 경험이다 학부 수업은 모두 경험이다 # CS 전공 학부 수업 CS(Computer Science) 전공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분야에 따라 학부생들에게 선택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많은 Electives 수업을 제공하는 편이다. 그럼에도 다른 전공 학부생들과 마찬가지로 졸업 필수 수업들이 있다. 필수 수업은 대학교마다 집중하여 가르치는 분야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렇다 보니, 일부 필수 수업은 CS 전공 학부 졸업을 위한 수업에 해당하지만 본인이 선택한 프로그래밍 분야와는 다를 수 있다. 아직 특정한 분야에 대한 확고한 선택을 하지 않은 상태라면 필수 수업을 듣는 것에 거리낌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본인이 어떤 분야에서 일을 하고 경력을 쌓을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솔직히 관련 없는 수업을 듣는다는 건 .. 2022. 7. 25.
[HOO's INFO] 기본 원칙은 변하지 않는다 기본 원칙은 변하지 않는다 # 개발자는 기본기가 중요하다 개발자라는 직업은 끊임없이 공부를 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냐하면 프로그래밍이라는 분야는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다 보니 개발자는 새로운 것을 익히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본 원칙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사실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어느 직업에서든지 기본기는 중요하다. 기본이 바탕이 되어야 특정 분야에 있어서 전문 기술을 습득하고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개발자에게 있어서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기 또는 기본 원칙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다른 분야와 달리 개발자에게 있어 유달리 기본기가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개발 또는 프로그래밍이라는 일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2022. 7. 22.
[HOO's Information] 프로그래밍 공부하는 방법 #00 - Prologue 프로그래밍 공부하는 방법 #00 - Prologue Programming을 공부하는 건 쉽지 않다. 책을 보고 교수님이 주신 과제를 따라서 한다고 해도 과연 내가 프로그래머인가 고민이 되고 걱정이 된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공부를 해왔지만 과연 내가 프로그램 개발을 실제로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드는 게 프로그래밍 공부이다. 심지어 실무에서 프로그램 개발자도 본인 실력이 정체되어 있지 않은지에 대한 불안감과 걱정을 한다.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은 계속 공부를 해야 하는 직업이다. 프로그래밍 분야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필자가 공부하고 개발하고 있는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science 분야는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프로그래밍은 매 순간 새로운 툴이나 알고리즘이 나오다 .. 2021. 8. 4.
[HOO's Q&A] C++ 다음으로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해야 할까요? Q: C++ 다음으로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해야 할까요? 분야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는 가지각색이다. 특히 4차 산업 시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분야에 SW가 활용되다 보니 분야와 상황에 맞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적으로 골라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점차적으로 파이썬이 전반적인 분야에서 독식하는 형태를 보이는 건 사실이다. 워낙 사용하기가 편하다 보니 파이썬 언어 기반으로 사용하지 않던 분야에서도 파이썬을 기반으로 한 툴이 개발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관련 학과 학부생이나 컴퓨터와 관련 없는 학부생이지만 전과를 하지 않고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학생들이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고민을 많이들 가진다. 위의 Bro도 C++ 언어를 학부때 배우고 자기 계발의 목적으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려고 한다고 필자.. 2021. 6. 19.
[HOO's Q&A] 컴퓨터공학과 학부 졸업 예정자인데 프로그래머랑 맞지 않는거 같아요. Q: 컴공과 학부 졸업 예정자인데 프로그래머랑 맞지 않는 거 같아요. 최근에는 초등학생들도 선택 수업에서 코딩을 배운다. 학교 수업에 없더라도 코딩 열풍으로 초등학생 자녀가 있다면 코딩 학원을 보내거나 과외를 시키는 경우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필자에게도 초등학생 프로그래밍 과외를 해줄 수 있냐는 문의가 자주 들어오는 편이다. 필자는 억지로 학원을 다니고 주입식 교육은 반대하지만 다양한 경험을 해봐야 한다는 건 인정하는 부분이다. 현재 컴퓨터 공학과 대학생이나 컴퓨터 공학 전공으로 대학교를 입학 예정인 학생들을 보면 지금의 초등학생들처럼 코딩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경험을 해보지 못한 점이 안타깝다. 필자도 현재 학부생들처럼 프로그래밍을 경험하지 못하고 대학교에서 처음 접하게 되었기에 얼마나 경.. 2021. 6. 17.
[Programming] 2의 보수 계산하는 방법, Two's Complement 2의 보수 계산하는 방법, Two's Complement # 보수(Complements)를 사용하는 이유? Two's Complement는 한국에서 "2의 보수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보수는 반대로 세어가는 수라는 의미로 Computer Science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다. Two's Complement에서 Complement라는 단어는 보완하다 또는 덧붙이다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단어의 의미에서 유추해 볼 수 있듯이 보수 즉 Complement는 이진법 계산에서 양수와 반대되는 값인 음수 값을 의미한다. 프로그래밍에서 보수와 같은 계산 방식이 필요한 이유는 연산 시스템의 이유가 있다. 컴퓨터는 우리가 쉽게 계산하듯이 덧셈, 뺄셈을 할 수가 없다. 덧셈을 기반으로 뺄셈이 이루어지기 .. 2021. 6. 11.
[Q&A Programming] 프로그래머는 수명이 짧나요? "프로그래머는 수명이 짧나요?" 프로그래머(Programmer)라는 직업에 연관 검색어처럼 따라오는 말이 프로그래머는 수명이 짧다는 것이다.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는 브로들과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는 브로들, 그리고 연차가 많지 않은 현직 프로그래머 브로들도 이와 같은 고민을 한다. 필자에게 직접적으로 말을 하지는 않아도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아무래도 직업 수명에 대해서 고민도 많고 불안해한다. 거두절미하고 필자가 이런 고민을 가진 브로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본인 하기 나름이라는 것이다. 필자가 경험하고 바라보는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은 본인의 능력이 정말 중요하다.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도 있지만 본인이 얼마만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프로그래머가 수명이 짧다는 말은 틀린.. 2020. 6. 23.
[Q&A AI] 딥러닝과 기존 알고리즘의 차이점 형 딥러닝을 이용하는 이유가 뭐예요? 형 딥러닝과 기존에 있던 알고리즘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Deep Learning Data Science에서 흔히들 프로그램을 교육시킨다고 했을 때 딥러닝을 통해 머신러닝을 구현합니다. AI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AI에 대해서 듣다보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말이 바로 Deep Learning이죠.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는 동생들에게 딥러닝에 대해서 물어봤더니, 딥러닝이라는 단어를 듣게 되면 프로그래머에게 있어서 너무나도 먼 존재라는 느낌이 든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알고보면 딥러닝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먼 존재가 아닙니다. 딥러닝과 알고리즘 사실 딥러닝은 알고리즘의 방식 중 하나로 생각하면 됩니다. 알고리즘 방식 중에서 다소 기존의 알고리즘과 차이가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 2020. 5. 22.
[C++ Example#05] getline을 활용한 클래스 예제코드 getline을 활용한 클래스 예제 코드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hooProgramming { public: void displayMessages(string subject) const { cout 2020. 2. 13.
[C++ Example#03] 포인터 예제코드 포인터 예제코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out 2020. 1. 31.
[Q&A/Programming] 프로그래머는 영어가 필수인가요? 프로그래머는 영어가 필수인가요? 프로그래머와 영어 개발자를 꿈꾸며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던 선배들이 "야 너는 좋겠다, 미국에서 학교 다니니까 따로 영어 배울 필요가 없어서 말이야."라는 말을 자주 했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프로그래머와 영어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지를 모르고 있었기에 공감이 100% 되지는 않았죠. 그렇게 시간이 지나서 과거를 돌이켜 본다면 제가 미국에서 프로그래밍을 공부한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프로그래머로써 공부하고 일을 하다 보면 영어를 안 하고서 개발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영어를 기반으로 한다.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영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다보니 영어를 어느 정도 한다면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도 유추하면서 프로그래밍을 할 수가 .. 2020. 1. 12.
[Programming] Why do we use flow charts? Why do we use flow charts? Flow charts를 그려야 하는 이유 Q: 형 프로그래밍 실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공부해야 될까요? A: you have to draw your own flow charts, 플로우 차트를 직접 그려 봐야 되지. Q: 플로우 차트랑 프로그래밍 능력이랑 상관이 있나요? A: 플로우 차트를 그리다보면 보다 더 빠르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게 되는 거야. Q: 아 그래서 교수님이 플로우 차트 그리라고 하는구나. A: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이 듣기만 하고 하나하나 그려보는 사람은 많지 않지. 한국말로 하면 순서도라고도 불리는 Flow charts(플로우 차트 또는 순서도)는 프로그램이 어떤 식으로 작동이 되는지 보여주는 시각적인 표현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 2019. 12. 19.
728x90